실업급여 신청방법은 은근히 어렵고 까다로운 부분이 많기 때문에 처음부터 잘 알아보고 확인해야 한다. 그렇기에 실업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마음이 편치 않으며 오히려 복잡한 마음이 앞서기도 한다. 다음 취직을 하기 이전에 생활비 마련이나 구직 준비를 위해 실업급여 신청방법 및 서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실업급여 신청 방법
사실 아무것도 준비 되지 않은 상황에서 실직을 한다는 것은 매우 가슴 아픈 일이다. 내 의사가 아닌 회사에서 권고사직을 당하면 자존감도 많이 상실하게 되고 다음의 구직 활동을 하는데도 많은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잠깐의 휴식과 생활비를 위해 실업급겨 신청은 필수다.
실업급여
실업급여란 근로자가 실업한 상태에 있으면서 근로자의 생활안정이나 구직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운영하고 있는 고용보험사업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실업급여는 크게 구직급여와 취업촉진수당으로 두 가지로 나뉜다.
구직급여
- 구직급여는 연장급여(훈련연장급여, 개별연장급여, 특별연장급여)와 상병급여, 그리고 취업촉진수당으로는 조기재취업수당, 직업능력개발 수당, 광역구직활동비, 이주비로 나뉜다
-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는 실업급여는 구직급여를 일컫는다.
- 직장에서 비자발적퇴사 또는 자발적 퇴사라 하더라도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구직급여를 받게 된다.
- 구직급여는 2022년 기준 1일 상한액 66,000원 하한액 60,120원으로 구직급여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이 된다면 반드시 실업급여를 놓치지 말고 신청해야 한다.
실업급여 신청
- 실업상태 : 실업급여 수급기간이 이직일의 다음날기준으로 12개월 이내이라서 이직 이후에는 지체 없이 실업의 신고를 해야 한다.
- 구직등록 : 실업자가 직접 위크넷을 통하여 신청한다.
-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방문 접수 한다.
- 수급자격인정 신청하기 :
- 불인정하는 경우 – 실업급여 신청이 불가하기에 90일 이내 재심사 청구가 가능하다.
- 인정하는 경우 – 구직급여 신청 한다.
- 구직급여 신청한다.
- 구직활동하기
- 재취업 : 조기 재취업 수당
- 광역구직활동 : 광역구직활동비
- 취업으로 인한 이사 : 이주비
- 질병 등으로 인하여 구직활동 어려움 : 상병급여
- 구직급여지급
- 구직급여 지급만료
- 미취업 시에는 구직급여 연장지급 한다.
실업급여 신청방법
- 고용보험 홈페이지 접속
- 고용보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개인로그인을 한다. 공동인증서나 pass 인증앱, 디지털 원패스 중에서 선택을 하여 접속한다.
- 실업급여 인터넷 신청 클릭
- 접속 후 고용보험 개인서비스 > 실업급여? 실업인정 인터넷 신청 클릭한다.
- 실업급여 인터넷 신청서 작성 방법 1
- 신청서 정보관찰단계의 항목들은 아이디를 기준으로 자동 표기가 된다. 이때 실업급여를 인터넷으로 신청하기 어려운 아래 항목에 해당하는 분들은 직접 관할센터를 방문하여 실업급여를 신청하시는 게 편하다.
- 전산장애 등으로 인하여 지정된 출석일 당일 오후 5시까지 신청하지 못한 경우
- 당초에 등록되었던 계좌를 다른 계좌로 변경하고 싶은 분
- 산업재해 요양 신청자나 요양 중으로 인해 휴업급여 수급자
- 실업급여 인터넷 신청서 작성 방법 2
- 위의 신청서를 다 작성하신다면 근로내역, 산재휴업급여 수급권, 취업내역에 대한 내용관찰이 진행한다.
- 실업인정 대상기간 중에서 일용근로나 회의참석 등의 일시적인 소득이 있다면에는 근로내역을 예로 체크한다.
- 사재휴업급여를 지급받고 있거나 수급권을 갖고 있다면 산재 휴업급여 수급권에 예를 체크한다.
- 실업인정 대상 기간 중에서 취업 또는 취업예정이나 개인 사업을 개시한 경우 예를 체크한다.
- 실업급여 인터넷 신청서 작성 방법 3
- 위의 조건이 모두 아니요로 체크된 분들은 다음 창에서 구직활동내역에 대한 필수항목들을 작성하도록 한다.
- 전체기간 중에서 구직활동이 있는지 있으면 어떤 구직활동을 하였는지를 작성한다.
- 실업급여 인터넷 신청서 작성 방법 4
- 해당 화면에서는 구직활동 이외의 활동사항이 있다면 검사를 한다.
- 실업급여 인터넷 신청서 작성 방법 5
- 해당 화면에서 다음 출석일까지 수행해야 할 활동을 입력한다.
- 실업급여 인터넷 신청서 작성 방법 6
- 실업급여 신청서 제출은 지정된 출석일인 실업인정일 당일 0시부터 17시까지만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참고하도록 한다.
- 반드시 실업급여 신청 시에 해야 할 사항으로는 구직신청과 실업급여 수급 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이 있다.
- 구직활동
- 워크넷에서 접속하여 구직 신청예방 으를 눌러서 구직신청을 반드시 체크해야 한다.
- 실업급여 수급자격 온라인 교육
- 구직등록을 하신 분들은 실업급여를 받기 위하여 수급자격 신청자교육도 필수로 수강해야 한다.
- 수급자격 온라인교육은 간단하게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시청하면 된다.
- 고용보험 사이트 접속 > 고용보험 개인 로그인 > 수급자격 온라인 교육 선택 클릭 > 동영상 시청 이전 동영상 교육환경설정 확인 후 온라인 교육 이수
- 이 실업급여 수급자격 온라인교육은 반드시 교육 종료 이후 14일 이내로 센터에 방문하여 신분증을 지참하시고 수급자격 신청을 완료한다.
- 방문하지 않을 경우 이수했던 교육이 소멸되므로 반드시 들러서 완료한다.
- 교육 시작 후 7일 이내에 수료하지 않으면 다시 재 수강 해야 하기 때문에 처음 들으실 때 확실히 끝내시는 게 좋다.
- 이 외에도 동영상 시청 중에서 30분 동안 움직임이 없다면 자동로그 아웃되기 때문에 확인해야 한다.
실업급여 필요 서류
- 구직등록 확인증
- 이직확인서
- 4대 보험상실신고서
구직등록관찰증 발급
실업급여 신청을 하려면 구직등록관찰증을 발급해야 한다. 구직등록관찰서란 구직등록 사실을 관찰하고 작성하는 서식증서이다. 이는 구직등록 사실이 있다는 관찰증이라고 보시면 돼요. 해당 서류는 워크넷으로 발급하시는 게 편리하다.
- 워크넷 로그인 > 마이페이지에 접속 > 마이페이지에서 워크넷 구직신청 누르기
- 미리 가입을 하고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를 작성해 둔 것이 있다면 구직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한다.
- 처음 하신 분이라면 왼쪽 메뉴에서 이력서, 자기소개서 등록을 하시고서 워크넷 구직신청으로 가서 워크넷 구직신청하기를 클릭한다.
- 그 후 구직신청정보가 나오며 이를 여러 조건들을 선택한 후 완료한다. 구직등록관찰증 출력버튼을 클릭하고 관찰증을 출력한다.
이직관찰서 요청하는 법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이직관찰서가 필수로 필요하다. 직장을 옮기는 것보다는 직장을 그만둔다는 뜻으로 퇴사사실관찰 서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직관찰서는 실업급여받으려는 분이 하시는 것이 아니라 전 직장에서 이직관찰서를 발급해 줘야 한다.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이 되시는 분들은 회사 측에서 고용보험 상실신고와 함께 이직관찰서를 발급해 준다. 이직관찰서를 이전 직장에서 빠르게 발급해 주면 좋겠지만, 빠르게 처리가 안 되는 경우도 있다.
- 처리여부 조회 방법 : 고용보험 홈페이지 접속 > 조회 – 이직관찰서 처리여부 조회
. 이렇게 이직관찰서 처리여부조회를 했는데도 아직도 이직관찰서 처리가 되지 않았다면 어쩔 수 없이 이직관찰서 발급요청서를 작성하여 이전 회사에 보내야 한다. 이직관찰서 발급요청서를 회사 측에서 받았음에도 일정기한이내에 이직관찰서 발급을 해주지 않을 해당 과태료가 부과된다. 또는 고용센터에 이직관찰서 발급이 안되고 있는 상황에 대하여 상담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
4대 보험 상실신고서 발급방법
4대보험 상실신고서 또 회사 측에서 담당직원이 퇴사와 함께 처리를 해주니 발급받으면 된다.
실업급여 신청방법 자주 묻는 질문
실업급여 간단히 어떻게 해야 할까
실업급여는 회사에서 이직관찰서 신고와 고용보험상실신고를 처리해주면, 고용보험사이트를 통하여 이직관찰서 접수내역을 관찰가능 하다.
그 후에 실업자분께서 직접 워크넷 가입 후 구직등록과 동영상 교육이수 및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내원해서 실업급여 신청하면 된다.
자진퇴사한 경우 실업급여 신청방법
자진퇴사를 한 경우 실업급여를 신청할 수 없다. 물론 몇 가지의 사항들, 예를 들면 임금체불, 장거리근무지 변경, 직장내 괴롭힘 등과 같은 사항일 때 가능하다.
회사에서 처리할 서류와 개인이 처리할 것
회사측에서는 이직관찰서와 고용보험상실신고를 하면 된다. 그 이후에 실업급여 신청을 진행한다.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한 실업급여 신청방법
직장내 괴롭힘으로 인한 자진퇴사 실업급여는 대표이사에 의해 해결이 되거나 안되는경우에는 노동청에 진정을 신청하여 실업급여 수급대상이 결정나고서 신청을 진행한다.
고용보험 전전직장도 포함해야하는가?
고용보험 최근 기간 18개월 이내에 전전직장도 함유되어 있으면 전전직장 이직관찰서도 발급요청하셔서 이직관찰서 이전직장과 함께 신청한다.
일용직 실업급여 서류
일용직 실업급여 신청방법은 상용직 근로 사업장에서 이직관찰서 신고를 요청하며, 자발적 퇴사인 경우 이후에 일용직으로 일할 때에 90일 이상 근로해야 가능하다.
실업급여 신청 어디서
실업급여 신청은 관할고용센터나 온라인으로 신청 하도록 한다.